금연7 흡연자의 잘못된 생각 흡연자들이 종종 담배에도 장점이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담배는 긴장과 스트레스를 풀어준다, 또 담배는 각성효과가 있어 공부나 일에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된다.라고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물론 담배 주성분인 니코틴이 자율신경과 중추신경에 대해 서로 다른 양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설명이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좀 이상한 부분이 있다. 흡연자들이 담배의 장점이라고 가장 많이 말하는 긴장과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이완효과와 집중력을 높여준다는 각성효과라는 말은 서로 반대되는 약물 작용이다. 우리 상식에 변비가 있을 때와 설사할 때 먹는 약은 다르다. 설사 날 때 변비약을 잘못 먹으면 증상이 좋아지기는커녕 더 심해진다. 그런데 어떤 약이 변비가 있는 사람이 먹던 아니면 설사를 하는 사람이 먹던 모.. 2023. 9. 2. 금단증상 극복하기 앞선 글들을 읽고 금연을 결심하신 분들이 있다면 이 글도 꼭 다시 읽으러 왔으면 좋겠다. 오늘은 금연하면 반드시 겪을 금단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나라 흡연자의 52.7%가 최근 1년 내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한다. *출처 : 질병관리청, 2018 국민건강통계, 2019 금연시도자의 대다수 90% 이상은 '자신의 의지'에 의존하여 금연을 시도하였지만 이런 금연 성공률은 5%밖에 되지 않았다. 니코틴 의존도 검사인 파거스트롬 점수로 평가해 의존도가 4점 이상이라면 약물요법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의존도가 3점 이하라도 과거 금연 실패 횟수, 금단증상의 강도와 횟수, 흡연 충동의 강도와 횟수에 따라서도 약물 요법이 가능하다. 금단증상은 왜 일어날까?? 그 이유는 니코틴의 중독.. 2023. 8. 28. 일주일 금연하면? 작심삼일이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은 다들 한 번씩 있을 것이다. 작심삼일이란 단단히 먹은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결심이 굳지 못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금연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담배 끊는 X이랑은 상종도 하지 말라”는 얘기가 있을 정도다. 그만큼 금연은 힘들다. 금연을 시도하고 얼마 못 가서 재 흡연을 하는 사람들은 '내가 그렇지 뭐' 하면서 보상심리로 평소의 흡연량보다 더 많이 태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금연은 마지막 흡연 후 20분만 지나도 신체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금연 결심 20분 이내로 심장박동수와 혈압은 감소하고 손과 발의 체온이 정상적으로 올라간다. 8시간 후 혈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정상으로 돌아오고 산소량은 정상으로 올라간다. 12시간이 지나면 심장마비 위험이 .. 2023. 8. 25. 금연, 해야만 하는 이유 흡연이 해롭다는 것은 누구나 알 것이다. 하지만 금연을 결심할 정도로 심각성을 못 느끼시는 분들이 많아 보인다. 그래서 오늘 흡연의 심각성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흡연은 무엇이, 특히 해로울까? 전 세계 인구 중 해마다 600만명이 담배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심혈관질환 사망 중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1.46배가 높고 여성은 1.5배가 높다. 주요 건강 문제로는 폐암, 후두암, 구강암, 심장질환, 뇌졸중, 태아에 영향을 끼치고 성 기능 저하, 피부노화, 만성병 등 다양하다. 폐암은 폐에 생긴 악성종양으로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이자 발병 후 5년 생존율이 약 20% 밖에 안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폐암의 발병은 80~90% 흡연과 연관이 있고 하루 .. 2023. 8. 2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