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약2 금단증상 극복하기 앞선 글들을 읽고 금연을 결심하신 분들이 있다면 이 글도 꼭 다시 읽으러 왔으면 좋겠다. 오늘은 금연하면 반드시 겪을 금단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나라 흡연자의 52.7%가 최근 1년 내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한다. *출처 : 질병관리청, 2018 국민건강통계, 2019 금연시도자의 대다수 90% 이상은 '자신의 의지'에 의존하여 금연을 시도하였지만 이런 금연 성공률은 5%밖에 되지 않았다. 니코틴 의존도 검사인 파거스트롬 점수로 평가해 의존도가 4점 이상이라면 약물요법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의존도가 3점 이하라도 과거 금연 실패 횟수, 금단증상의 강도와 횟수, 흡연 충동의 강도와 횟수에 따라서도 약물 요법이 가능하다. 금단증상은 왜 일어날까?? 그 이유는 니코틴의 중독.. 2023. 8. 28. 금연 하는 방법 올 해도 벌써 반년이 지났다. 다들 연 초에 계획했던 일들이 많을 텐데 그중 금연계획도 많을 거라 생각한다. 사람들은 금연은 담배를 끊는 게 아니라 담배를 평생 참는 거라고 말한다. 그만큼 금연이 어렵다는 뜻일 것이다. 왜 금연은 힘들까? 먼저 흡연을 시작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주변의 압력이나 권유, 담배회사 광고, 흡연 시 스트레스이완, 각성효과, 다이어트 효과, 호기심, 겉멋, 반항심 등 대부분 비슷하게 시작했을 거라 예상한다.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흡연을 하는 사람들의 주장은 실제와는 맞지 않다. 담배와 스트레스 관계의 연구결과에서는 실제로 스트레스의 수치는 달라지지 않고, 오히려 니코틴 중독으로 담배를 피우지 않는 순간 금단증상으로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냄을 밝힌 바가 있다. 금연.. 2023. 8.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