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할 시기가 다가오면 식욕이 평소와 다르게 증가하고 초콜릿, 과자, 자극적인 음식이 생각난다는 여성들이 많다.
기분 탓이라고 생각하고 그냥 넘기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분들도 많겠지만 여기에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이 있다.
독일 의과대학 연구 중 에서 가임기 여성 15명의 뇌를 자기 공명영상으로 분석한 결과 생리를 하기 전 뇌 시상하부 영역의 인슐린에 대한 민감성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연구에 참여한 한 교수는 "뇌는 대사 변화에 기여항 생리 주기 동안 식습관을 변화시키고 생리 전에 여성이 식욕과 단 음식에 대한 갈망을 느끼는 현상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라고 밝혔다.
인슐린은 간에서 포도당의 생산을 억제하고 근육을 포함한 말초조직으로 포도당 흡수를 자극하여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데, 췌장에서 생성되는 인슐린은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여 대사와 에너지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여성들이 단 음식을 원하는 것은 생리 전 단계에서 뇌가 호르몬의 한 종류인 인슐린에 대한 반응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인슐린은 또 여성의 생리 주기에 관여를 하는데 여성은 생리 주기의 전반기인 여포기에 난자 생산 위해 에너지를 비축한다.
자궁벽을 두껍게 하기 위해 배란 전에는 인슐린을 필요로 하지만 이후에는 더 이상 인슐린을 필요로 하지 않아 황체기에는 인슐린의 민감성이 떨어져 식욕이 늘어나고 체내 지방이 쉽게 축적되어 음식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 생리 일주일 전 식욕이 강해지고 살을 찔 수밖에 없는 이유가 다양한 호르몬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한다.
프로게스테론은 배란을 시작한 뒤 생리를 하기 전 까지 황체호르몬인데, 이 시기에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높아져 에스트로겐의 분비는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이때 프로게스테론은 혈당을 떨어뜨리고 행복한 감정을 담당하는 세로토닌 분비의 저하가 이루어져 이에 따라 몸은 혈당수치를 올리고 일시적으로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시키는 단 음식과 자극적인 음식이 생각날 수밖에 없다.
생리 직전의 급격한 호르몬 변화로 체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자극하는데 이 호르몬 또한 인슐린 농도에 영향을 미쳐 당분 성분 섭취 욕구를 상승시킨다.
호르몬 다이어트로 생리 끝나면 체중감소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여성들도 많다. 이는 생리 전 프로게스테론 농도로 인해 몸이 수분을 머금고 있어서 시간이 지난 뒤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떨어져 생리가 시작되면 체내 수분이 빠지면서 체중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수분만 빠졌을 뿐 체지방은 오히려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다.
프로게스테론은 지방분해 효소의 작용을 억제해 몸에서 지방을 축적되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같은 양의 음식을 먹어도 인슐린 민감성이 낮아져 많은 양의 인슐린이 분비되고 지방이 쉽게 축적되는 것이다. 자극적인 음식으로 살 찌는 것을 막고 싶다면 생리 직전 고탄수화물의 음식은 피하는 것이 아무래도 좋겠다.
그리고 생리 기간에 먹는 초콜릿은 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알아두면 좋겠다. 일시적으로 초콜릿의 달달함이 우울한 기분은 잠시 잊게 해 줄 순 있지만 초콜릿에 소량의 카페인이 함유됨에 따라 통증에 더욱 민감하게 할 수도 있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생리 전부터 끝날 때 까지 달달한 음식을 원하는 것은 호르몬의 변화이니 괜히 안 먹으려고 스트레스받기보다는 적당히 섭취하면서 건강한 식습관으로 정신과 신체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좋겠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제철 음식 (7) | 2023.09.07 |
---|---|
혹시 당신도 만성피로? (4) | 2023.09.05 |